본문 바로가기

기술블로그

PLC 기초개념 설명 (PLC 정의, 종류, 특징, 동작원리 등등)

반응형

PLC이란?


PLC이란?
PLC이란?


전기회로나 자동제어 쪽 공부를 좀 하다보니 자연스레 PLC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되었다. 아직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이지만 개념정도만 파악하기 위해 여기저기 검색하던 중 우연히 알게 된 사이트인데 나름 정리가 잘 되어 있어서 참고용으로 공유하고자 한다.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도 수많은 전기기기들이 작동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은 전류나 전압 또는 빛에너지 같은 외부 에너지를 받아 동작된다. 즉 기계장치 내부에서는 특정한 상태가 유지되며 변화하지 않는다. 하지만 실제로는 매우 복잡한 과정을 통해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계단을 오르내릴 때 다리 근육 내 ATP라는 에너지원으로부터 화학반응을 일으켜 힘을 발생시킨다. 이때 생성된 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바뀌어 주위 환경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또다시 새로운 ATP 분자가 만들어져 위 반응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렇듯 생물체뿐만 아니라 모든 시스템은 일정한 조건하에서 일련의 연속적인 흐름으로서 존재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총칭하여 자동제어라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일정한 조건’이란 온도, 압력, 유량, 농도 등이며 앞 글자를 따서 흔히 4대 변수라고 부른다. 또한 ’일련의 연속적인 흐름’이란 공정 순서대로 한 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진행된다는 의미다. 한편 로봇시스템도 마찬가지로 센서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목적 달성을 위하여 최적화된 경로를 찾아 움직이는 일종의 자동제어계로서 일반적인 자동제어 개념과 동일하다. 그렇다면 왜 굳이 산업현장에서만 적용하던 자동제어 기술을 실생활에까지 확대하려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인간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PLC 개념


PLC 개념
PLC 개념


공장자동화(FA) 시스템 구축 시 사용되는 제어장치로서 일종의 컴퓨터 프로그램인데 기본 기능은 입력된 순서대로 명령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기계 장치 내 각종 센서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해 공정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다만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산 효율 증대 측면에서 장점이 많아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LS산전이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쓰비시, 지멘스, 오므론 등 해외 업체들도 진출해있다. 참고로 세계 최초로 개발한 국가는 일본이고 미국·독일·스위스 등 선진국들은 1970년대부터 도입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