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경찰계급 총정리 (순경~총경까지)

반응형

경찰계급에 대해 알아보자


경찰계급에 대해 알아보자
경찰계급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법한 직업 바로 경찰이다. 영화나 드라마에서도 자주 등장하며 사회 곳곳에서 발생하는 범죄 사건 및 사고 현장에서 시민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각종 민원 업무도 처리하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찰 조직 내 계급체계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 한 번 알아보자.


경찰계급 총정리


경찰계급 총정리
경찰계급 총정리


먼저 치안총감(경찰청장) 아래 치안정감(서울지방경찰청장, 경찰대학장, 부산지방경찰청장, 경기남부지방경찰청장), 치안감(본청 국장급, 서울·부산·경기남부 제외한 각 지방경찰청장), 경무관(각 지방청 차장, 서울·부산·경기남부 제외한 각 지방청 부장), 총경(경찰서장, 경찰청 과장급), 경정(경찰서 과장급), 경감(지구대장, 경찰서 주요 계장 및 팀장), 경위(파출소장, 순찰팀장), 경사(순찰팀원), 경장(교통외근요원), 순경(기동대 근무) 이렇게 11개 등급으로 나뉜다. 참고로 직급별 승진 소요 기간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궁금해했을 법한 질문이 있다. 바로 계급별 승진 소요 기간이다. 일반 공무원과는 달리 경찰공무원은 일정 기간 동안 근무해야만 진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순경-경장-경사까지는 순경에서 4년이상, 경장에서 5년이상 근속해야 하고 경위부터는 경사에서 6년 6개월 이상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 참고로 경무관까지의 평균 소요 기간은 약 25년이고 치안총감은 무려 30년 넘게 걸린다고 한다. 물론 개인 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겠지만 보통 저 정도 걸린다. 따라서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정진한다면 언젠가는 반드시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명심해야 할 점은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이다. 업무 강도가 높고 위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중도에 그만두는 사례가 적지 않다. 심지어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일도 벌어진다. 부디 사명감을 갖고 끝까지 버텨내길 바란다.


반응형